가토 도모사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토 도모사부로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해군 대장, 제21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다. 1861년 히로시마현에서 태어나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청일 전쟁,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 해군 대신으로 3개 내각을 거치며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 수석 전권대사로 참여하여 5개국 조약 체결에 기여했다. 1922년 내각총리대신에 임명되었으나, 1년여 만에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히로시마번 사람 - 아사노 나가코토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아사노 나가코토는 히로시마 번의 마지막 번주로서, 막부 말기 대정봉환 추진, 메이지 정부 활약, 제지 공장 설립, 교육기관 재건 등 일본 근대화에 기여하고 귀족원 의원과 후작을 역임한 다이묘이자 정치인이다. - 막말 히로시마번 사람 - 시모세 마사치카
시모세 마사치카는 페놀을 니트로화하여 만든 강력한 폭약인 시모세 화약을 개발하여 러일 전쟁에서 일본 해군의 승리에 기여한 일본의 화약 기술자이자 해군 기사, 공학박사이다. - 슈도 중학교·슈도 고등학교 동문 - 가메이 시즈카
가메이 시즈카는 히로시마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도쿄 대학 졸업 후 경찰청 관료를 거쳐 자유민주당 중의원 의원, 운수대신, 건설대신을 역임하고, 우정 민영화 반대 후 국민신당을 창당하여 대표를 지냈으며,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금융·우정 서비스 담당 장관을 역임한 후 정계 은퇴, 지역 활성화와 탈원전 정책을 주장했다. - 슈도 중학교·슈도 고등학교 동문 - 사이토 데쓰오
사이토 데쓰오는 공명당 소속의 일본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이자 2024년부터 공명당 대표를 맡고 있으며, 도쿄공업대학과 프린스턴 대학교를 거쳐 1993년 중의원 의원으로 첫 당선된 후 과학기술정무차관, 환경대신, 국토교통대신 등 요직을 역임하며 에너지 정책, 사회 정책, 한일 관계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태극장 수훈자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태극장 수훈자 - 와카쓰키 레이지로
와카쓰키 레이지로는 재정 전문가로서 명성을 쌓고 재무대신과 내무대신을 거쳐 두 차례 일본 총리를 지낸 정치가로, 남자 보통선거법 제정과 치안유지법 제정에 동시에 관여했으며 런던 해군 군축 회의 수석 전권 대표로 활동했고 만주사변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종전을 위해 노력하고 평화주의적 입장을 견지했다.
가토 도모사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가토 도모사부로 (加藤 友三郎) |
출생일 | 1861년 2월 22일 |
사망일 | 1923년 8월 24일 (향년 62세) |
출생지 | 아키국 히로시마번 |
사망지 | 도쿄 |
묘소 | 아오야마 묘지, 도쿄 |
배우자 | 가토 기요코 (1874–1940) |
![]() | |
경력 | |
소속 정당 | 무소속 |
모교 | 일본 제국 해군사관학교 |
복무 | 일본 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873–1923 |
최종 계급 | [[파일:Imperial Japan-Navy-OF-9-collar.svg|30px]][[파일:元帥徽章.svg|20px]] 원수 해군 대장 |
주요 지휘 | 쓰쿠시, 해군 군무국, 구레 진수부, 제1함대 |
주요 참전 |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쓰시마 해전 |
훈장 | 국화장 (대훈위) |
정치 경력 | |
직위 | 내각총리대신 |
임기 시작 | 1922년 6월 12일 |
임기 종료 | 1923년 8월 24일 |
천황 | 다이쇼 |
섭정 | 히로히토 |
이전 수상 | 다카하시 고레키요 |
다음 수상 | 우치다 고사이 (대리) |
해군 경력 | |
직위 | 해군대신 |
임기 시작 | 1915년 8월 10일 |
임기 종료 | 1923년 5월 15일 |
이전 해군대신 | 야시로 로쿠로 |
다음 해군대신 | 다카라베 다케시 |
기타 정보 | |
작위 | 자작 |
향년 | 62세 |
사망 원인 | 결장암 |
신분 | 정2위 원수 |
가계 | |
아버지 | 가토 시치로베 |
사위 겸 양자 | 가토 다카요시 |
2. 생애
가토 도모사부로는 해군 군인으로서, 해군성 차관, 구레 진수부 사령장관, 제1함대 사령장관 등을 역임했다. 이후 제2차 오쿠마 내각을 시작으로 데라우치 내각, 하라 내각, 다카하시 내각,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 등 5개 내각에서 해군대신을 역임했다.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회의에 참석했다.[3] 1922년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했으나, 이듬해 재직 중 사망했다. 외무대신 우치다 야스야가 내각총리대신 임시 겸임으로서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을 관리했으며, 후임 내각총리대신이 임명될 때까지 정권을 운영했다. 사후 원수 해군 대장 칭호를 받았다.
같은 해군 대장이었던 가토 다카요시는 양자이다.
"고바야시 세이조 해군 대장과 하야카와 미키오 해군 중장 (두 사람은 형제)은 가토 도모사부로의 조카이다"라는 책도 있지만, 오류이다.
2. 1. 초기 생애
가토 도모사부로는 1861년 히로시마현 아키국(현재의 히로시마현)에서 사무라이 가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3] 아버지는 히로시마 번 하급 무사였지만 학식이 뛰어나 라이 츠안 등과 함께 번교의 교수를 맡았다. 어린 시절 히로시마 번교 학문소·슈도칸(현 슈도 중학교·고등학교)에서 야마다 쥬테키에게 배웠다.[3]2. 2. 해군 경력
가토 도모사부로는 1884년 10월, 해군병학교(7기)를 졸업했다. 이때 성적은 수석인 시마무라 하야오에 이어 차석이었다.[3] 1888년 11월에는 해군대학교(갑호 1기)를 졸업했다. 소위 임관 후 1887년에는 일본 해군의 코르벳에 배속되었고, 이후 순양함에서 복무했다.청일 전쟁 당시 가토는 순양함의 포술 장교로 참전하여 황해 해전에서 "딩위안", "전위안"을 상대로 활약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여러 참모직을 거쳐 해군 소령으로 진급했다. 전함의 부장을 역임했고, 일본 해군의 포함의 함장을 맡기도 했다. 1904년 9월 1일에는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러일 전쟁에서 가토는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 휘하의 전함의 참모장으로 복무하며 쓰시마 해전에서 일본 해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그는 위장이 약해 전투 중에도 많은 양의 약을 복용해야 했고, 명령을 내리는 동안 구토를 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당시 연합함대 사령장관 도고 헤이하치로, 참모장 가토, 참모 아키야마 사네유키 등은 빗발치는 탄환 속에서도 전함 "미카사"의 함교에 꼿꼿이 서서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았다.
이후 가토는 1906년에 해군 차관이 되었고, 1908년 8월 28일 해군 중장으로 진급했다. 1909년에는 구레 진수부 사령관에 임명되었으며, 1913년에는 연합 함대 사령관이 되었다. 그는 해군 군인으로서 해군성의 차관이나 구레 진수부 사령장관, 제1함대 사령장관 등을 역임했다.
2. 3. 해군 대신 및 워싱턴 회의
1915년 제2차 오쿠마 내각의 해군 대신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데라우치 내각, 하라 내각, 다카하시 내각에서도 유임되었다.[4] 1921년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 일본 측 수석 전권 위원으로 참석하여, 시데하라 기주로 대사와 함께 5개국 조약 체결에 기여했다.가토는 "'''국방은 군인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는 신념 하에, 미국의 5:5:3 주력함 비율 제안을 수용하고 군비 축소에 적극적으로 찬성했다.[4]
2. 4. 내각총리대신
1922년 (다이쇼 11년) 6월 12일,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이 발족했다.[3] 가토는 일본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었으며, 그의 내각은 주로 관료와 귀족원 의원들로 구성되어 일본 제국 육군의 불만을 샀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가토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조항을 이행하고, 중국 산둥반도에서 일본군을 철수시켰으며, 시베리아 출병을 종결했다.1923년 (다이쇼 12년) 8월 24일, 가토는 수상 재임 중 대장암 악화로 아오야마미나미초 사저에서 임종을 맞이했다.[3] 향년 63세 (공표에서는 8월 25일).[3] 외상 우치다 야스야가 내각총리대신을 임시 겸임했지만, 8일 후 관동 대지진이 발생하여 일본은 "수상 부재"라는 이례적인 상황 속에서 이 재앙을 맞이하게 되었다.[3]
가토는 사망 전날 원수 칭호를 받았으며, 사후에는 최고 국화대훈위가 추서되었고, 그의 작위는 ''시샤쿠'' (자작)로 승격되었다.
3. 사후
1923년 8월 24일, 가토 도모사부로는 대장암 악화로 아오야마미나미초 사저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63세.[5] 그 때문에 외상 우치다 야스야가 내각총리대신을 임시 겸임했지만, 8일 후인 9월 1일 간토 대지진이 발생하여, 일본은 "수상 부재"라는 상황 속에서 이 재앙을 맞이하게 되었다.
가토의 유해는 원수부에 열거되어 해군장으로 치러졌다. 현재 도쿄도 미나토구의 아오야마 묘지에 묘소가 있다.
1935년 히로시마시 미나미구 히지야마 공원에 원수도를 손에 든 모습의 동상(높이 약 4m)이 세워졌다.[6] 그러나 태평양 전쟁 당시 금속류 회수령으로 공출되었다.[6] 동상과 유래 비석은 모두 제거되어 석조 받침대 부분만 남아있다. 2008년 히로시마시 나카구 히로시마시 중앙 공원 내에 워싱턴 군축 회의 당시의 프록코트를 입은 가토의 동상이 새로 건립되었으며,[6] 서거 85주년에 해당하는 2008년 8월 24일에 제막식이 거행되었다. 오테마치 제2공원에는 생가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석비가 있으며, 2015년 2월 22일 석비 옆에 가토에 대한 설명판이 설치되었다. 2020년 12월 6일에는 과거 구레 진수부 사령 장관 관저인 이리후네야마 기념관 앞에 구레 진수부 사령 장관 당시의 대례복 차림의 동상이 건립되었다.
4. 평가
가토 도모사부로는 일본 해군 근대화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워싱턴 군축 회의에서 일본 수석 전권 위원으로 참여하여, 미국의 "5·5·3 함대안"을 골자로 하는 군비 축소에 적극적으로 찬성하였다. 각국의 기자들은 그의 야윈 몸매를 보고 "촛불"이라고 얕잡아 보았지만, 그는 "호전적인 국가 일본"의 이미지를 일시적으로나마 불식시키고 "위기의 세계를 밝게 비추는 위대한 촛불", "애드미럴 스테이츠맨(일류의 정치 센스를 가진 제독)"이라고 칭송받았다.[4]
가토는 "'''국방은 군인의 전유물이 아니다'''. 전쟁 또한 군인에 의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미일 전쟁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국방은 국력에 상응하는 무력을 갖추는 동시에, 국력을 함양하고, 한편 외교 수단으로 전쟁을 피하는 것이, 현재의 시세에서 '''국방의 본의'''라고 믿는다."라고 언급하며, 군비 축소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밝혔다.
그러나 가토 도모사부로는 군국주의적 배경과 제국주의 정책에 참여했기에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특히, 한국의 입장에서는 일본 제국주의를 상징하는 인물 중 하나로 인식될 수 있다.
해군에서도 손꼽히는 애주가로 알려졌으며, 총리 재임 중에도 과음으로 대장암에 걸려 사망한 것이 아니냐는 말까지 나왔다.[5] 1935년에는 히로시마시 미나미구의 히지야마 공원에 원수도를 손에 든 모습의 동상이 세워졌으나,[6] 태평양 전쟁 당시의 금속류 회수령으로 공출되었다.[6] 2008년, 히로시마시 나카구의 히로시마시 중앙 공원 내에 워싱턴 군축 회의 당시의 프록코트를 입은 가토의 동상이 새로 건립되었으며,[6] 같은 해 8월 24일에 제막식이 거행되었다.
5. 연보
- 1873년(메이지 6년) 10월 27일 - 해군병학료(후의 해군병학교)에 입학
- 1883년(메이지 16년) 11월 2일 - 해군 소위 임관
- 1884년(메이지 17년) 10월 6일 - 해군병학교 졸업(7기). 졸업 성적 30명 중 2등.
- 1886년(메이지 19년) 12월 21일 - 해군 대위로 진급
- 1888년(메이지 21년) 11월 15일 - 해군대학교 갑호 1기 학생
- 1889년(메이지 22년) 7월 29일 - 해군대학교 갑호 1기 졸업
- 1891년(메이지 24년) 10월 20일 - 방호순양함 "요시노" 회항 위원
- 1893년(메이지 26년) 6월 7일 - 조병 감독관 면직, 요시노 포술장[7]
- 1895년(메이지 28년) 2월 26일 - 해군 소령으로 진급
- 1896년(메이지 29년) 11월 17일 - 해군대학교 교관
- 1897년(메이지 30년) 12월 1일 - 해군 중령으로 진급
- 1898년(메이지 31년) 10월 1일 - 순양함 "쓰쿠시" 함장
- 1899년(메이지 32년) 9월 29일 - 해군 대령으로 진급, 11월 7일 고등 교육 회의 의원[8]
- 1900년(메이지 33년) 6월 22일 - 겸임 해군성 군무국 제2과장[9], 7월 3일 항만 조사회 위원[10], 9월 7일 겸임 해군 임시 건축부 부원[11]
- 1901년(메이지 34년) 2월 9일 - 해군성 군무국 제2과장 겸임 해제[12], 2월 21일 항만 조사회 위원 면직[13]
- 1903년(메이지 36년) 11월 10일 - 해군성 군무국 국원[14], 12월 28일 제2함대 참모장
- 1904년(메이지 37년) 9월 1일 - 해군 소장으로 진급
- 1905년(메이지 38년) 1월 12일 - 연합함대 참모장 겸 제1함대 참모장
- 1906년(메이지 39년) 1월 8일 - 해군 차관
- 1907년(메이지 40년) 5월 31일 - 해군성 사법국장 결원 중 동 직무 취급[15]
- 1908년(메이지 41년) 2월 5일 - 승서 고등관 1등[16], 8월 28일 해군 중장으로 진급
- 1909년(메이지 42년) 12월 1일 - 구레 진수부사령장관[17]
- 1913년(다이쇼 2년) 12월 1일 - 제1함대 사령장관
- 1915년(다이쇼 4년) 8월 10일 - 제2차 오쿠마 내각의 해군 대신에 취임, 8월 28일 해군 대장으로 진급
- 1918년(다이쇼 7년) 9월 29일 - 하라 내각에 해군 대신으로 유임
- 1921년(다이쇼 10년) 9월 27일 - 워싱턴 회의 전권, 11월 13일 다카하시 내각에 해군 대신으로 유임
- 1922년(다이쇼 11년) 6월 12일 - 대명 강하, 해군 대신을 겸임한 채 제21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
- 1923년(다이쇼 12년) 5월 15일 - 해군 대신을 사임, 8월 24일 - 사망, 같은 날 자작으로 승작, 원수부에 열거, 9월 2일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 총사직
6. 수훈
가토 도모사부로는 일본 제국 해군에서 복무하며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일본 국내 훈장으로는 금치훈장, 서보장, 욱일장, 파울로니아 대수훈장, 국화대수장 등이 있으며, 작위로는 남작과 자작(사후 추서)을 받았다.
훈장 종류 | 등급 | 수여 일자 | 비고 |
---|---|---|---|
금계훈장 | 5등급 | 1895년 9월 27일 | |
금계훈장 | 2등급 | 1906년 4월 1일 | |
서보장 | 대수 | 1913년 11월 28일 | |
서보장 | 2등급 | 1905년 11월 30일 | |
서보장 | 5등급 | 1899년 5월 9일 | |
서보장 | 6등급 | 1894년 11월 24일 | [30] |
욱일장 | 대수 | 1916년 7월 14일 | |
욱일장 | 2등급 | 1906년 4월 1일 | |
욱일장 | 6등급 | 1895년 9월 27일 | |
파울로니아 대수훈장 | 1920년 9월 7일 | ||
대훈위 국화대수장 | 1923년 8월 24일 | 추서 | |
단광욱일장 | 1895년 9월 27일 | [31] | |
메이지 278년 종군기장 | 1895년 11월 18일 | [32] | |
욱일중광장 | 1906년 4월 1일 | [35] | |
메이지 378년 종군기장 | 1906년 4월 1일 | [35] | |
훈1등 서보장 | 1913년 11월 28일 | ||
대례 기념장(다이쇼) | 1915년 11월 10일 | [36] | |
욱일대수장 | 1916년 7월 14일 | [37] | |
다이쇼 34년 종군기장 | 1916년 7월 14일 | [37] | |
남작 | 1920년 9월 7일 | [38] | |
욱일동화대수장 | 1920년 9월 7일 | [38] | |
전승기장 | 1920년 9월 7일 | [39] | |
제1회 국세조사 기념장 | 1921년 7월 1일 | [40] | |
원수 | 1923년 8월 24일 | [29] | |
자작 | 1923년 8월 24일 | [29] |
또한, 외국 훈장으로는 러시아 제국의 성 안나 1등 훈장과 백수리 훈장, 대한제국의 훈1등 태극장, 중화민국의 1등 대수 보광 가화장 등을 받았다.
국가 | 훈장 종류 | 수여 일자 | 비고 |
---|---|---|---|
러시아 제국 | 성 안나 1등 훈장 | 1910년 3월 14일 | [41] |
대한제국 | 훈1등 태극장 | 1910년 4월 22일 | [42] |
러시아 제국 | 백수리 훈장 | 1916년 1월 17일 | [43] |
중화민국 | 1등 대수 보광 가화장 | 1918년 12월 6일 | [44] |
7. 가족 관계
가토 도모사부로는 사위인 후나코시 다카요시를 양자로 맞이하려 했으나 생전에 이루지 못했다. 다카요시는 1923년(다이쇼 12년) 11월 20일 호적상의 절차를 완료하고 가토 가문의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같은 해 12월 10일 자작 작위를 받았다.[5]
8. 관련 작품
- 영화
- 메이지 천황과 러일 대전(1957년) - 배역: 아마기 류타로
- 일본해 해상 대결전(1969년) - 배역: 가토 다케시
- 드라마
- 바다는 되살아난다(TBS) (1977년 8월 29일) - 배역: 요코모리 히사시
- 뜨거운 폭풍(TBS) (1979년) - 배역: 스가 후지오
- 바다에 걸린 무지개 ~ 야마모토 이소로쿠와 일본 해군(TV 도쿄) (1983년 1월 2일) - 배역: 아카와 히로유키
- 언덕 위의 구름(NHK 종합) (2009년 ~ 2011년) - 배역: 쿠사카리 마사오
- 푸른 하늘을 찔러라(NHK 대하드라마) (2021년) - 배역: 오모리 요시유키
- 소설
- 역사는 잠들지 않는다 (나에게도 이런 시대가 있었다) - 저: 호다카 겐이치
참조
[1]
문서
Nishida, Imperial Japanese Navy
[2]
웹사이트
レファレンス事例:小林躋造氏が加藤友三郎氏の甥であるという記述を見かけ…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4-09-04
[3]
문서
修道校同窓會「山田養吉先生門弟名簿」
1911-00-00 #明治44년을 YYYY-MM-DD 형식으로 변환 불가능. 추정치로 1911년 설정. 정확한 날짜 정보가 필요합니다.
[4]
문서
加藤寛治 관련 내용
[5]
문서
加藤(船越)隆義 관련 내용
[6]
뉴스
78年前の除幕式 映像現存
http://www.chugoku-n[...]
2013-11-28
[7]
간행물
『官報』第2982号「叙任及辞令」
1893-06-09
[8]
간행물
『官報』第4907号「叙任及辞令」
1899-11-08
[9]
간행물
『官報』第5091号「叙任及辞令」
1900-06-23
[10]
간행물
『官報』第5100号「叙任及辞令」
1900-07-04
[11]
간행물
『官報』第5157号「叙任及辞令」
1900-09-08
[12]
간행물
『官報』第5280号「叙任及辞令」
1901-02-12
[13]
간행물
『官報』第5289号「叙任及辞令」
1901-02-22
[14]
간행물
『官報』第6109号「叙任及辞令」
1903-11-11
[15]
간행물
『官報』第7175号「叙任及辞令」
1907-06-01
[16]
간행물
『官報』第7381号「叙任及辞令」
1908-02-06
[17]
간행물
『官報』第7933号「叙任及辞令」
1909-12-02
[18]
간행물
『官報』第183号「叙任」
1884-02-12
[19]
간행물
『官報』第2541号「叙任及辞令」
1891-12-17
[20]
간행물
『官報』第3535号「叙任及辞令」
1895-04-16
[21]
간행물
『官報』第4402号「叙任及辞令」
1898-03-09
[22]
간행물
『官報』第4904号「叙任及辞令」
1899-11-04
[23]
간행물
『官報』第6384号「叙任及辞令」
1904-10-08
[24]
간행물
『官報』第7425号「叙任及辞令」
1908-03-31
[25]
간행물
『官報』第8055号「叙任及辞令」
1910-05-02
[26]
간행물
『官報』第233号「叙任及辞令」
1913-05-12
[27]
간행물
『官報』第1140号「叙任及辞令」
1916-05-22
[28]
간행물
『官報』第2640号「叙任及辞令」
1921-05-21
[29]
간행물
『官報』号外「授爵、叙任及辞令」
1923-08-25
[30]
간행물
『官報』第3430号「叙任及辞令」
1894-12-03
[31]
간행물
『官報』第3676号「叙任及辞令」
1895-09-28
[32]
간행물
『官報』第3838号・付録「辞令」
1896-04-18
[33]
간행물
『官報』第4754号「叙任及辞令」
1899-05-10
[34]
간행물
『官報』第6727号「叙任及辞令」
1905-12-01
[35]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1906-12-30
[36]
간행물
官報 第1310号・付録「辞令」
1916-12-13
[37]
간행물
官報 第1187号「叙任及辞令」
1916-07-15
[38]
간행물
官報 第2431号「叙任及辞令」
1920-09-08
[39]
간행물
官報 第2903号「叙任及辞令」
1922-04-10
[40]
간행물
官報 第2858号・付録「辞令」
1922-02-14
[41]
간행물
官報 第8017号「叙任及辞令」
1910-03-17
[42]
간행물
官報 第8064号「叙任及辞令」
1910-05-12
[43]
간행물
官報 第1037号「叙任及辞令」
1916-01-19
[44]
간행물
官報 第1905号「叙任及辞令」
1918-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